식당, 카페 QR체크 이달말 사라지나…정부 다음주 이후 조정여부 논의
코로나19 신규 환자는 5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고 재택 치료자도 17만 명을 넘은 가운데 방역당국이 오는 20일 이후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와 함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에 대한 조정 여부도 함께 논의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주목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유지하기로 한 다음주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방역패스까지 포함해 함께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대본은 전날 브리핑에서 “고위험 확진자 중심으로 방역 대책을 펼치기로 함에 따라 전자출입명부의 기능은 약화됐다. 그에 따라 후속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말하는 등 오미크론 대유형에 맞게 방역의료체계가 개편된 만큼 기존 전자출입명부 관리 시스템도 개편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앞서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대유형에 맞게 방역의료체계가 개편된 만큼 기존 전자출입명부 관리 시스템도 개편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했다.
사적모임 인원제한은 6인,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오후 9시까지로 제한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오는 20일까지 연장하기로 정부는 지난 4일 결정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1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으면 다중시설 이용을 제한하는 방역패스를 적용해왔다.
학원과 대형마트 등 소송을 통해 효력이 정지된 시설을 제외하고 11종의 시설에 방역패스가 유지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방역패스는 3차 접종의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여전히 유효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방역패스로) 음성을 계속 확인했을 때 감염에 더 주의해야겠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어서 유효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음주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됐는데, 그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정부안에서 방역패스를 포함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http://news.v.daum.net/v/20220211090139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