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정원 겨우 늘렸는데…산업은행, 인력이탈 '걱정'

작성자: sasdfda58님    작성일시: 작성일2022-04-09 16:22:13    조회: 329회    댓글: 0
산업은행 본점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자 산은 노조가 득실을 제대로 따져보지도 않고 무리하게 밀어붙이지 말라며 반발하고 있다. 지역 균형 발전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서울 본점을 부산으로 옮기면 국가적 차원에서 잃을 게 더 많을 것이란 주장이다.

그동안 축적한 금융 네트워크 훼손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저하가 당장 직원 이탈로 가시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안그래도 일할 직원도 충분치 않은데 기존 근무지 인근 민간 금융사로의 산은 젊은 직원의 이직 행렬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대우조선해양 관리부실 책임을 물어 지난 5년 여간 직원을 늘리지 못하도록 한 정부 조치가 올해부터 해제된데 따른 기대감도 온데간데 사라졌다.



.....



◆ "젊은 직원들 삶의 우선순위 달라"…'산은이라고 다르지 않다' 직원 이탈 우려

그런데 지난해 9월 2022년 신입 채용 인원을 대거 늘려 공고할 때만 해도 예상치 못했던 부산 이전론이 올들어 급부상했다. 서울 본점 근무를 기대하고 들어온 직원은 동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인력 동결 해제를 앞두고 2020년과 2021년엔 하반기부터 일할 신입행원 50명 정도씩 채용하는 하반기 채용을 추가로 진행했으나 올 3월 중순 올라온 2022년 하반기 5급 행원 채용 공고엔 일반 행원이 아닌 석ㆍ박사, 변호사 등 15명 채용 계획만 올라온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취업난을 뚫고 이제 막 금융공기업에 들어온 신입 직원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당장 경력을 살려 자리를 옮길 수 있는 직원 이탈이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금융권 한 고위 관계자는 "젊은 직원들을 보면 삶의 우선순위가 다르다는 걸 느낀다"고 말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등 생활환경의 큰 변화를 감내하며 거주지를 옮기기 보다는 직장을 바꾸려 시도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진행된 은행연합회 채용에 서울 근무를 희망하는 산은 직원들이 지원한 것으로 전해져 눈길을 끌었다. 이런 움직임이 확산되면 젊은 직원을 중심으로 확충하려 한 인력운용 계획 이행에 차질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책은행 노조 관계자는 "산업은행 직원들 이직 기회는 많다. 다만 민간에서 성과급 받는만큼 영업실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피하려는 개인적인 이유도 있을 수 있고, 기본적으론 산업은행에서 일한다는 자부심이 클 수 있는데 이런 것들이 부산 이전시 계속 일할 유인이 될지는 봐야한다"고 말했다.

민간에 이직한 동료와의 연봉격차에도 불구하고 여의도 금융권에서 산은이 갖는 위상이나 공공기관 안정적 근무여건을 고려해 남은 직원이 적지 않은데 근무 유인으로 계속 작용할지 미지수라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산은은 예금을 받아 자금을 조달하고 예대마진으로 이익을 내는 시중은행과 차이가 있다"며 "이런 업무현황을 보면 증권시장에서도 통하는 직원들이 비교적 많다"고 전했다.

산은은 시장 참여형 공공기관으로 부산 이전시 그간 축적된 금융네트워크 훼손 우려가 크다는 논리와 맞닿아 있다. 실제 산은 자금조달 비중엔 55조원에 달하는 산업금융채 비중이 상당하다. 자본시장에서 채권을 발행해 조달한 자금을 굴려 수익을 내면서 국책은행 업무를 수행한다. 뉴딜펀드처럼 목적이 특정된 정책사업은 정부 재정을 받아 수행하지만 대부분 시장 조달자금을 투입한 사업에서 낸 수익을 다시 업무재원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의 산업은행 채권 평가보고서를 보면 산은은 회사채 위주 조달구조 영향으로 조달비용이 높아 순이자마진은 낮고 금융자문, PEF(사모펀드), 인수업무 등 다양한 IB관련 수수료 수입 비중이 시중은행 대비 높은 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정책금융 특성상 수익성은 낮지만 기업 회사채 인수와 구조조정에 따른 출자전환 주식 보유로 유가증권 평가, 처분금액 변동성이 나타나 영업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인 HMM 경영정상화 성과로 산은이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산은이 보유한 HMM지분 가치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보유지분 평가 이익이 산은 배당 가능이익으로 산정되면서 산은이 정부에 주는 배당도 크게 늘릴 수 있게 됐다. 국가 재정에 기여하고 자체 업무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성과를 낸 사례로 강조하고 있다. 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선 지분 매각을 거쳐 민영화까지 매듭져야 한다. 산은이 기존 자본시장 업무를 하던 여의도에서 벗어날 경우 업무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 산은 부산행 논의 급물살…금융권 노조 연대해 반대 목소리


http://news.mtn.co.kr/news-detail/2022040320032525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